Q1. 전략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전략이란 목표 달성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한다. 좋은 예로 영화 명량 중 이순신 장군이 참전했던 명량해전이 있다. 명량 해전을 요약하자면 이순신 장군이 12척(한정된 자원)의 배로 330척의 배를 상대한 전투이다. 12척의 배로 330척의 배를 상대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 하지만 이순신 장군은 목표 달성(승리)을 위한 가장 최적의 방법(환경적인 요인을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전투를 승리로 이끌었다. 특히 이 방법에 대해 이순신 장군이 분석한 내용은 일본군이 수적인 우위를 가지고 있어 방심하고 있다는 점과 조류의 흐름 그리고 풍향까지 고려해 결과적으로 최적의 위치 선정을 선점하여 유리하게 전투를 이끌 수 있었다. 위의 예시에서 만약 이순신 장군이 뚜렷한 전략 없이 전투에 임했다면 결과는 일본군의 승리로 끝나는 것뿐 아니라 조선 전체가 위험에 빠지는 최악의 결과를 낳았을 것이다. 이처럼 전략은 조직 내에서 없어서는 안 될 필수적인 요소이다.
그렇다면 좋은 전략이란 무엇일까? 좋은 전략이란 다음과 같다.
1.조직이 직면한 문제를 구체적으로 진단
2.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접근방법을 담은 추진 방침(행동 범위안에서)을 만든다.
3.타당한 방법론과 자원할당을 결정하는 일관된 행동을 추진한다.
Q2. 최근 가장 자주 사용하는 Product 의 시장조사를 통해 얻은 인사이트 3가지 이상 작성해주세요.

최근에도 그렇고 이전부터 오랜 기간 사용해온 어플이 무엇인가에 대해 고민해보다가 무신사가 떠올라 무신사에 대해 조사해보았다. 일단 무신사란 대한민국의 온라인 패션 커머스 기업으로 국대 최대 규모의 온라인 편집샾이다. 또한 대한민국의 10번째 유니콘 기업으로 현재는 패션업계 쪽에 상당한 영향력을 끼치고 있다. 주로 의류를 취급하지만 가방, 액세서리 등 현재는 다양한 상품을 취급한다. 무신사라는 단어는 '무지하게 많은 신발 사진'에서 따온 브랜드명이며 처음에는 남성 의류 브랜드를 중심으로 시작하였지만 현재는 우신 사라는 브랜드 네임을 론칭해 여성 의류 쪽으로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2019년 국내 온라인 패션시장 규모는 42조 6,879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중 의류만을 조사한 시장규모는 14조 8,705억 원이다. 하지만 무신사 쪽에서 의류뿐만 아니라 신발, 가방, 액세서리 등 폭넓은 분야를 아우르고 있어 14 조이 상의 시장규모를 예측할 수 있다. 특히 모바일 거래액은 27조 2,055억 원으로 무신에서는 주로 모바일 거래에 집중하고 있어 대략적으로 시장규모는 약 20조 정도로 예측할 수 있다.
1) 온라인 쇼핑의 한계를 허물다.
어플을 처음 사용해 보았을 때 제일 먼저 눈에 띄었던 건 '무료배송'과 내가 가지고 있는 옷의 사이즈를 기록할 수 있다는 점이었다. 온라인으로 의류를 구매하는 것이 저렴하다는 것은 모두가 알고 있지만 제일 먼저 망설여지는 점은 저렴하다 하더라도 이 옷이 나에게 잘 맞는지의 문제이다. 때문에 오프라인에서 옷을 입어보고 바로 구매를 하던지 오프라인에서 옷을 입어보고 따로 온라인으로 같은 옷을 주문한다던지 1차적으로 오프라인을 거쳐야 옷이 나에게 맞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무신사는 이러한 경계를 허물고자 상의, 하의, 아우터 등 옷의 종류별로 나만의 사이즈를 기입할 수 있는 수단을 마련하였고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적합한 치수의 옷을 추천받을 수 있는 시스템이 존재했다. 결과적으로 무신사는 오프라인 쇼핑의 장점과 온라인 쇼핑의 장점을 모두 아우르는 회사가 되었다.
2) 고객을 먼저 생각하다.
온라인으로 옷을 구매하는 것이 저렴하긴 하지만 치명적인 단점이 존재했다. 바로 배송비이다. 온라인 쇼핑몰을 이용할 때 최소 주문금액을 채우지 못하면 고객들은 어쩔 수 없이 배송비를 지불했었고 이 배송비 때문에 최소 주문 금액을 맞추어야 하는 문제를 늘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무신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단순하게 무료배송으로 해결하였다. 또한 정기적으로 무신사에서 고객에게 꾸준히 쿠폰을 발급해 고객들로 하여금 이득감을 주어 지속적으로 무신사에서 쇼핑하게끔 끊임없이 무신사를 어필했다.
3) 온라인 쇼핑몰에서 그치는게 아닌 패션 플랫폼으로 성장하다.
무신사가 그저 다른 브랜드들의 옷을 판매해 수익을 남기는 시스템에서 그쳤다면 아마 지속적으로 성장 가능한 회사로 성장하지 못했을 것이다. 그러나 이에 그치지 않고 무신사는 독자적인 무신사만의 오리지널인 '무신사 스탠다드'라는 브랜드를 론칭해 무신사만의 의류를 직접 제작하여 판매하기 시작했다. 특히 가성비를 앞세워 마케팅을 시작했는데 이는 성공적이었다. 모든 의류에서 성공하지는 못했지만 남성 의류의 경우 가성비 슬랙스? 하면 떠오르는 슬랙스가 무신사 스탠다드 슬랙스가 떠오를 정도로 고객들로 하여금 가격 대비 최고의 성능을 보여주는 제품을 만들어냈다. 또한 무신사 매거진, 룩북, 스냅 등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고객들에게 온라인 쇼핑몰에서 나아가 패션 플랫폼으로 인식되고자 꾸준히 발전해나가고 있다.
Q3. 시장조사를 통해 경쟁사의 특성 분석 및 포지셔닝맵을 그려주세요.

무신사의 경쟁사로는 지그재그(카카오스타일), 에이블리, 브랜디, 29cm, w콘셉트, 서울 스토어와 같은 편집샵 어플들이 있었다. 입정 브랜드 수의 경우 에이블리와 지그재그와 에이블리가 약 10,000개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브랜디가 약 7,000개, 29cm와 무신사가 약 3,500개, w콘셉트가 3,300개 마지막으로 서울 스토어가 약 800개로 가장 낮았다. 어플 이용률은 1년간 거래액을 기준으로 무신사가 1조 4,000억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지그재그가 6,000억 원, 에이블리가 4,000억 원, w콘셉트가 2,000억 원, 29cm가 1,200억 원, 브랜디가 약 1,000억 원 마지막으로 서울 스토어가 500억 원으로 가장 낮았다.
Q4. 대안재 개념을 사용해서 가장 자주 사용하는 Product이 만들어진 배경을 설명해주세요.

고등학교 시절에는 주로 친구들과 함께 노래방을 같이 가는 일이 많았고 혼자서는 가는 일이 거의 없었다. 이유는 혼자 노래를 하고 싶다고 해서 노래방을 가게 되면 적게는 만원에서 비싸게는 2만 원까지 혼자 비용을 부담하고 1시간 30분에서 많게는 2시간까지도 혼자 노래방에서 노래를 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원하는 시간만큼 노래를 할수도 없었고 비용적인 부담도 있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 비용적인 문제와 원하는 시간 만큼 노래를 부를 수 있는 공간이 생겼났는데 이것이 바로 코인 노래방이다. 시간제 노래방과 다르게 원하는 곡의 수만큼 일정 금액을 지불해 원하는 만큼 노래를 부르고 나올 수 있었다. 또한 요즘에는 코인 노래방에도 시간제 개념이 생겨 시간제로 이용하고 싶은 고객과 원하는 만큼 노래를 부르기를 원하는 두 고객 모두 코인 노래방에서 본인들의 요구를 채울 수 있게 되었다.
'Work spa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PM에게 BM이란? (0) | 2021.01.27 |
---|---|
당근마켓 (0) | 2021.01.24 |
왓챠 (1) | 2021.01.19 |
고객이 왜 중요할까? (0) | 2021.01.14 |
좋은 프로덕트 팀과 나쁜 프로덕트 팀 (0) | 2021.01.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