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ork space

채용공고 분석

by jahon 2021. 1. 5.

PM이란

  1. 대표적인 채용 공고 사이트인 원티드, 로켓펀치, 피플앤잡, 잡플레닛, 잡코리아 등을 통해 일하고 싶은 곳을 찾고 PM 채용 공고 3개 이상 분석해주세요
  • 기업 이름:베이글코드
  • 채용 직무 명:Data Product manager
  • 업무 (JD : Job Description):

- 데이터 자산을 활용하여, 데이터 프로덕트를 제안, 설계하고 구현을 주도
- PM으로서, 프로덕트의 목적과 사용자 가치를 정의하고 주요 기능 및 UX를 설계 및 프로젝트를 위해 필요한 자원과 일정 관리
- 프로덕트 성공에 필요한 주요 KPI를 설계하고 모니터링하며, A/B 테스트 등의 데이터 기반 실험을 통해 지속적인 프로덕트의 성장을 주도
- 데이터 기반 기술 및 머신 러닝 등 AI 기술을 이해하고 이를 프로덕트에 반영하여 설계 및 성장
- 사내 다양한 팀들과의 협업을 수행하고, dependency를 이해하며 프로젝트 마일스톤을 효과적으로 달성하도록 주도

  • 자격 요건:

- 베이글코드의 데이터 프로덕트 매니저 (a.k.a Data PM)는 Data as a Service (DaaS)를 고민하고 구현을 주도하는 역할을 하는 포지션입니다.
- 데이터 자산들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새로운 서비스/프로덕트를 제안하고, 데이터 기반의 A/B 테스트를 수행하여 프로덕트를 향상시키며, 데이터 흐름에 대한 기술적인 이해를 통해 비즈니스 가치를 극대화 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실행하게 됩니다.
- 프로덕트 매니저 (데이터 기반),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데이터 엔지니어 등 데이터를 실무에서 활용한 직무 관련 경력이 2년 이상 있으신 분
- Python, SQL 등을 활용하여 프로덕션 환경에서의 다양한 raw 레벨 데이터 분석을 경험하신 분
- 다수의 stakeholder들과 커뮤니케이션하며 프로젝트를 진행한 경험이 있는 분
- 통계 지식에 대한 이해 및 문제 해결 능력이 뛰어난 분

  • 우대조건:

- 신규 서비스 컨셉 도출부터 런칭까지 전체 프로세스 경험을 보유하신 분
- Big data platform 관련 오픈소스 기술 (Spark, Hadoop 등)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전반적인 아키텍처를 경험해본 분
- 머신러닝과 AI를 활용하여 실제 프로덕트에 적용하고 배포한 경험이 있는 분

  • 채용공고분석: 베이글코드라는 회사는 모바일 게임 개발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글로벌 게임회사이다. 평소에 게임을 자주하기도 하고 게임 개발이 곧 IT와도 연관이 있어 베이글코드를 선정하게 되었다. 다른 회사의 채용 공고와 다르게 PM이 Data PM으로 세분화되어 있고 게임회사라는 점과 AI 기술에도 개발에 힘을 쏟고 있다는 점이 흥미로웠다. Data PM라는 점에서 디자인이나 개발 쪽 보다는 Data에 가담하기 때문에 UX나 파이썬에 대한 내용이 없을 줄 알았지만 당연하게도 UX, 파이썬 그리고 SQL 활용능력이 요구된다. 또한 2년의 경력이 요구되기 때문에 다른 회사에서 PM으로서의 기본 업무를 익히고 지원하면 좋을 것 같다.

  • 기업 이름:로켓펀치
  • 채용 직무 명:프로덕트 매니저
  • 업무 (JD : Job Description):

- 비즈니스 소셜 네트워크 앱/웹 운영 기획 및 개선
- 사용자 데이터 분석을 통한 신규 기능 기획 및 런칭

  • 자격 요건:

- 데이터 기반 프로덕트 의사 결정 능력
- 새로운 기능을 빠르게 테스트하고 시장의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역량
- 원격근무를 훌륭하게 수행할 수 있는 주도적 성향

  • 우대 조건:

- 소셜 네트워크 또는 커뮤니티 플랫폼 기획 혹은 운영 경험
- 데이터 기반 서비스 성장 달성 경험

  • 채용공고분석: 로켓펀치는 잡코리아, 잡플레닛, 사람인 등과 같은 채용 공고 사이트이다. 다른 채용 공고 사이트와 다르게 주로 스타트업 회사의 채용공고가 활성화되어 있다는 점과 소셜 네트워크 앱/웹 운영 기획 및 개선 업무를 담당하게 된다고해서 선정하게 되었다. 다른 회사와는 다르게 경력이 요구되지는 않았고 자격 요건이나 우대 조건에도 데이터 분석과 관련된 SQL이라던지 개발언어인 파이썬 디자인 툴인 UX 등에 관한 내용은 없었다. 또한 원격근무에 대한 내용이 명시되어 있고 채용 공고에서도 원격으로 주로 근무를 한다고 명시되어 있었다.

  • 기업 이름:퍼블리
  • 채용 직무 명:프로덕트 매니저
  • 업무 (JD : Job Description):

- Quality Assurance(직접 테스트 + 테스팅 프로세스 설계 + 테스팅 자동화 솔루션 세팅)
- 애널리틱스 툴을 활용하여 주요 지표 추출
- 고객 목소리 대응
- 고객 이탈 요인 분석 등 사용자 리서치(정성/정량)
- 개발이 필요없는 실험을 설계, 실행, 분석: 소셜 미디어, 랜딩 페이지, 이메일, 설문 조사 툴 등 활용해서 실행
- 제품 트렌드 & 시장 리서치
-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프로덕트 디자이너, 그로스 마케터 업무 지원
- 프로덕트 매니저의 디스커션 파트너
- User Acquisition, User Engagement를 위한 마케팅 업무(스쿼드 내 마케터 부재시)

  • 자격 요건:

- 기술 및 경영 백그라운드를 모두 갖춘 사람: 산업공학 전공자 또는 컴퓨터공학/경영(경제) 복수 전공자 우대. 기타 이공계/경영(경제) 복수전공을 했거나, 이에 준하는 지식과 경험을 갖춘 사람.
- 정량적인 데이터 분석 능력 및 경험: SQL, Analytics 툴(Amplitude, Google Analytics, Mixpanel 등), Python/R, 스프레드 시트 중 한 가지를 활용하여 데이터 분석을 해본 경험
- 문제 해결을 위해 필요한 지식을 빠르게 파악하고, 이를 습득하는 것에 자신 있는 사람

  • 우대 조건:

- 다양한 백그라운드를 가진 사람들과 유연하게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는 사람
- 시간 관리에 대해 평소 관심을 가지고 학습하여 자신만의 노하우를 가지고 있는 사람
- 제품 개발 경험(개인 프로젝트 / 팀 프로젝트 무관)
- 제품 관리 경험(팀 프로젝트)
- 애자일 개발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
- 린 스타트업에 대한 이해
- 사용자 경험에 대한 이해
- 컨설팅 / 투자은행 / 벤처캐피탈 / 엑셀러레이터 등 에서의 인턴 경험
- User Acquisition, User Engagement를 위한 마케팅 경험

  • 채용공고분석: 퍼블리는 콘텐츠 구독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용자들에게 읽을거리를 제공하는 회사이다. 신입 PM의 경우 APM(Associate Product Manager)로 분류되어 PM의 보조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PM이 제품 발견을 담당한다면 APM은 제품 전달의 업무를 담당한다. 즉 제품과 고객 사이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대고객 업무가 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내가 아르바이트를 통해 쌓은 경험을 토대로 고객과의 소통을 원활하게 이끌어갈 자신이 있어 퍼블리를 선정하게 되었다. 자격요건을 살펴보면 기술과 관련된 백그라운드가 요구되는데 프로그래밍 언어를 상세하기 공부하진 않았지만 기본적인 배경지식은 있기 때문에 다시금 파이썬에 대해 학습하고 데이터 분석 툴인 SQL도 추가적으로 학습하여야 지원이 가능할 것 같다.


2. 내용들을 종합해서 공통적으로 PM 이 하는 일을 정의해보세요.
기획부터 개발, 디자인까지 모든 분야를 총괄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모든 분야의 다양한 사람들과 소통해야 하기 때문에 유연한 사고방식과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요구되며 개발적인 부분의 지식도 전공자이거나 이에 준하는 지식이 필요하다. 개발적인 지식뿐만 아니라 디자인적인 지식이 요구되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툴인 파이썬, SQL, UX 등의 프로그램들을 전반적으로 다룰 줄 알아야 한다. 최종적으로 고객에게 판매할 제품을 기획하는 업무를 수행하므로 고객에 대한 이해와 데이터를 기반으로 고객의 의견에 적극적으로 귀 기울여야 하나 무조건적으로 고객의 의견이라고 전부 수용해서는 안되고 회사와 고객의 사이에서의 균형 잡힌 줄다리기의 달인이 되어야 한다.

3. 결론적으로 Product Manager 는 무엇인지 정의 해주세요. (벤치마킹 X, 본인의 의견으로)
회사 내의 리베로이다. 리베로란 이탈리아어로 '자유인'을 뜻하는데 흔히 축구나 배구에서 공격과 수비에 모두 가담하는 선수를 지칭한다. PM을 리베로라고 표현한 이유는 포지션에 얽매이지 않는다는 점에서 이다. PM은 개발자도 디자이너도 아니고 그렇다고 데이터 분석가도 아니다. 하지만 이 세분야를 모두 아우르며 추가적으로 고객과의 소통을 통해 제품에 대한 기획과 판매 전략 등 모든 분야에서 업무를 수행한다. 따라서 리베로의 사전적 의미인 '자유인'만큼 PM을 정의하기에 가장 적합한 단어가 또 있을까 싶다.


프로덕트 팀 (수업을 위한 사전 과제)

  1. 다양한 직무의 사람들과 협업했던 경험, 어려웠던 점을 작성해주세요

직장생활을 한 적이 따로 없어 다양한 직무의 사람들과 협업했던 경험은 없지만 아르바이트를 할 적에 유독 한 직원 때문에 어려움이 많았는데 이때 이 직원이 장애인 직원이었다. 겉으로 봐서는 일반인과 큰 차이가 없었는데 말을 하거나 근무하는 데 있어 비장애인과 근무 진척량의 차이가 있어 이 직원이 장애인임을 알게 되었다. 이때 어려웠던 점이 그 직원과 처음 만났을 때 나에게 처음으로 건넨 말이 “자헌 씨는 저를 중학교 때 괴롭혔던 친구와 닮았네요”였다. 이 이야기를 들어서인지 '이유 없이 누군가에게 미움을 살 수도 있겠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는데 역시나 걱정했던 것처럼 같이 근무하는 내내 궂은 일을 나에게 떠넘기거나 사소한 일들을 시키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어차피 누군가는 해야 할 일들이고 이것 또한 그냥 좋게 생각하면 이유 없이 누군가가 나를 싫어할 때 마음을 얻어 낼 수 있는 기회라 생각하여 큰 불평불만 없이 근무하였고 오히려 꾸준히 먼저 인사를 건네다 보니 자연스레 그 직원도 나에게 인사를 건네게 되었고 시간이 지나다 보니 가끔은 일상까지도 공유하는 사이가 되었다. 이때 느꼈던 것이 나를 분명 이유 없이 싫어하는 사람이 있을 수 있겠구나 그리고 나는 그런 상황이 생기면 묵묵히 그 사람의 마음이 열릴 때까지 기다려주고 필요하다면 먼저 조금씩 다가가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Work spa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근마켓  (0) 2021.01.24
전략이 필요한 이유  (0) 2021.01.21
왓챠  (1) 2021.01.19
고객이 왜 중요할까?  (0) 2021.01.14
좋은 프로덕트 팀과 나쁜 프로덕트 팀  (0) 2021.01.1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