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ork space

Wire frame

by jahon 2021. 2. 18.

#Adobe XD를 활용해 Wire frame 만들어 보기

카카오페이는 기본적으로 결제 서비스를 주로 제공하고 있지만 그중 송금 서비스에 대해서 User Story를 설정하였다. 카카오 페이 송금 서비스 중 가장 큰 특징은 바로 빠른 송금인데 경쟁사인 토스에 비해 카카오페이는 6번의 뎁스(Depth)만 거치면 바로 송금이 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카카오페이의 송금 서비스는 카카오톡을 가지고 있는 사용자들이라면 모두 사용이 가능하고 친구에게 바로 송금을 하거나 계좌번호를 통해 송금하는 시스템이다. 송금 시에는 만원 단위로 페이 머니가 충전되기 때문에 남은 돈은 카카오페이 머니로 저장되는 방식이다.

송금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고객들은 다음과 같은 User Story를 가지고 있다.

나는 공인인증서나 보안카드 등의 번거로운 인증없이 간편하게 친구 혹은 원하는 계좌에 송금 기능을 이용하고 싶다.

카카오페이의 송금 서비스는 이미 위의 User Story를 충족하고 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간편한 송금 서비스를 고객들에게 제공하고 고객들에게 많은 선택을 받았을까?

카카오페이에서 집중한 부분은 '기본에 충실한 서비스' 이다. 송금 기능에서 가장 필요한 부분은 간편하게 송금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다. 실제로 카카오페이의 송금 서비스는 타 경쟁사에 비해 낮은 뎁스(Depth)로 이루어져 고객들에게 간편한 송금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오픈서베이 간편결제,간펼송금 트렌드 리포트 2019

카카오 페이는 현재 카카오톡 앱의 부가 기능으로 제공되는 서비스이다. 카카오톡은 월간 사용자만 3,600만 명에 이르는 국민 메신저로, 별도 앱을 설치해야만 하는 경쟁 서비스보다 이미 가지고 있는 어플에서 추가된 부가서비스로 송금 서비스를 이용하기 때문에 카카오 페이의 접근성 우위가 클 수밖에 없다. 실제로 '주면 사람들이 많이 써서' 카카오 페이를 주로 사용한다는 응답이 3번째로 카카오 페이를 사용하고 있는 주된 이유로 꼽히기도 했다.

실제로 카카오페이 송금 서비스는 다음과 같은 Flow를 거치고 있다. 친구에게 송금을 하는 경우에는 채팅방에서 바로 송금 탭을 눌러 금액만 입력하고 보안 절차를 거쳐 송금을 완료하는 방식이다.

카카오 페이 송금 서비스 Flow / 출처 : 카카오페이

위의 경우는 채팅방에서 송금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이고 Adobe XD를 이용해 카카오톡의 친구메뉴 창부터 송금 서비스를 이용해 친구에게 돈을 보내는 프로토타입을 만들어 보았다.

카카오페이 송금서비스.mp4

drive.google.com

'Work spa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픈 API를 활용하여 기획하기  (0) 2021.02.25
트렌비  (0) 2021.02.22
UX/UI의 10가지 심리학 법칙  (0) 2021.02.15
애자일하게 일한다는 것  (0) 2021.02.03
OKRs, 클래스 101  (0) 2021.01.3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