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ork space

트렌비

by jahon 2021. 2. 22.

#트렌비

트렌비 이미지 / 출처 : 트렌비

트렌비는 명품 구매 플랫폼으로 전 세계 최저가 제품을 찾아주고 정품 인증까지 책임지는 서비스이다. 실제로 구찌로 예를 들면 한국 구찌에서 찾아볼 수 있는 상품이 500개에 불과한 반면 전 세계에서는 5000개의 구찌 상품이 판매되고 있다. 트렌비는 이에 착안해 한국에서도 전 세계의 구찌 제품을 모두 구매할 수 있도록 해외 구매 대행 플랫폼으로 자리 잡아 전 세계의 상품을 유통하고 최저가를 비교해 최저가로 원하는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처음에는 명품 구매 플랫폼으로 시작하였지만 명품 중고거래와 같은 명품과 관련된 전반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기획전과 매거진 카테고리를 운영해 명품 패션 플랫폼으로서의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트렌비의 MVP?

트렌비의 비즈니스 모델을 생각해보면 고객에게 명품을 판매하고, 판매 마진을 이익으로 취하는 단순한 방식을 취하고 있다. 그렇다면 어떠한 고객들의 니즈를 파악하여 MVP를 설정하였을까? 실제로 명품을 구매하기 위해서는 해외 직구 혹은 국내 오프라인 매장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 두 방법 모두 원래의 명품 가격보다 비싼 값을 주고 소비자들이 결제할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해외 직구의 경우 오프라인 매장을 이용하는 것보다는 가격이 저렴하지만 배송비용과 배대지(배송대행지), 그리고 가격비교를 해외 사이트에서 소비자가 직접 해야 한다는 문제 등이 있다. 이 문제를 들여다보면 명품 구매를 하고자 하는 고객들은 기존의 방식보다 편리하게 가격비교를 거쳐 배송비용과 배송대행지 등 직접 고려해야 할 것 없이 편리하게 명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니즈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샤넬 나라별 가격 비교

#MVP의 핵심기능?

그렇다면 위의 니즈에 착안한 트렌비의 MVP 핵심기능은 무엇일까? 일단 고객들이 직접 가격비교를 할 필요 없이 트렌비 내에서 자체적으로 전 세계의 명품 가격비교를 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가격비교를 통해 구매로 이어지도록 고객에게 구매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인데 이때 배송비용과 배송대행지 등 고객이 직접 고려할 요소 없이 고객은 가격비교 정보를 통해 명품 구매를 바로 할 수 있게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트렌비는 왜 웹뿐 아니라 앱까지 만들고자 했을까?

스마트폰 앱,웹 이용 비중 자료 / 출처 : DMC 미디어

위의 자료에 따르면 스마트폰에서 모바일 앱을 사용하는 비중은 웹보다 두 배가량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중에서도 특히 쇼핑몰 앱에서는 웹의 이용률보다 앱에서의 이용률이 월등히 높은데 그 이유는 접근성과 할인 혜택, 결제 편의성 등이다. 실제로 타 쇼핑몰의 어플을 분석해보면 웹사이트를 접속하거나 모바일 웹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사용자들에게 어플 설치 유도를 지속적으로 하고 어플 설치로 쇼핑몰을 이용하면 할인 혜택을 주는 등 사용자들에게 앱 사용 권유를 끊임없이 하고 있다.

그렇다면 쇼핑몰 서비스에서 웹보다 앱 사용을 사용자들에게 권유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일단 사용자들에게 지속적인 푸시 알람을 통해 고객들이 쇼핑몰에 잔여 하는 시간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인 예시로 사용자들이 관심을 표기해 놓은 상품이 사이즈가 입고 되었다던지 관심 있는 브랜드의 행사 혹은 세일이 있다던지 등 고객들의 흥미를 끌어 지속적으로 어플에 남아있는 시간을 늘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들의 접근성 측면에서도 웹보다는 앱에서의 접근성이 용이하다. 웹의 경우 PC로 예를 들면 PC가 있는 장소에서만 PC를 직접 켜서 해당 웹에 접속해야 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고 웹앱의 경우도 스마트폰에서 인터넷에 접속해 쇼핑몰에 직접 고객이 접속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지만 어플은 사용자가 어플만 설치해 두면 클릭 한 번으로 쇼핑몰에 접속이 가능해 고객들이 더 원활하게 쇼핑몰에 접근할 수 있다.


#트렌비의 기술 스택

1. 프론트엔드

React
-프레임워크가 잘 짜여져 있어 사용이 용이
-리액트 만으로는 제한적인 요소가 많아 boilerplate, Redux를 도입하여
다양한 기능들을 구현


2. 백엔드

Java
-스케일업시 개발자 채용에 용이
Go나 스칼라의 경우 러닝타임이 소요되어 평범한 개발자 채용을 위해 사용
-안정성
Spirng boot
-데이터 조회
Teamcity,Jenkins
-CI 솔루션
.NET
-C#을 이용해 크롤링 시스템 운영
(파이썬 + JSONCNFIG로 전환을 목표로함)

3. 미들웨어

Neo4j
-그래프 데이터 베이스 관리
redis,elasticsearch
-많은 양에 데이터에 대해 소팅과 검색에 따라서 빠른 데이터를 주는역할

4. 인프라

AWS
-유연한 확장기능을 이용해 100개의 머신을 가동

#트렌비의 조직 구성원

트렌비의 가상 조직도

트렌비는 크게 기술 위주의 기업이므로 CEO가 개발 지식을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개발에 전반적으로 관여하는 CTO를 따로 두었을 것이다. 또한 전반적인 운영에 있어서도 COO를 두어 운영 책임을 가지는 인원을 배치하고 개발 분야를 크게 세분류로 프런트 엔드, 백엔드, 미들웨어로 나누어 구성하고 고객 지원에 CS팀에서 고객들의 피드백을 주로 관리하며 상품관리에서는 명품 감별과 수량 등 상품 관리를 맡고 주로 배달 대행 업무가 주를 이루므로 상품 배송팀을 따로 분류했다. 마케팅 분야에서는 사업 마케팅과 해외 마케팅을 따로 분류했고 실제로 해외 지사를 운영 중이어서 해외 법인 팀을 따로 구성했다.


#트렌비는 스케일업 하는 방법을 알고 있는가? 그리고 그럴 역량을 갖추고 있는가?

위의 내용을 토대로 보면 트렌비는 스케일업을 하는 방법을 알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생각해 볼 수 있는데 첫 번째 이유는 트렌비의 백엔드 영역에서 Java를 택했다고 했던 이유에도 스케일업을 고려한 점이 있다는 것이다. 현재 트렌비에서는 AI(인공지능) 기술을 바탕으로 고객들에게 전 세계 최저가 제품을 찾아주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기술적인 요소에서 빠질 수 없는 것이 바로 개발자인데 이 개발자들을 빠르게 채용하기 위해 기술적인 요소에서도 스케일업을 고려해 채용을 하고 있다는 것을 보면 처음부터 스케일업을 염두에 두고 기술 스택을 구성했다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 이유는 MVP 단계에서 생각했던 가격비교와 구매대행에서의 서비스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명품의 정품 인증과 더불어 AS, 명품 중고거래 등 명품과 관련된 전반적인 모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명품에 대해서 관심이 없던 사람들에게는 명품 자체가 높은 진입장벽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해서 인데 트렌비에서는 이러한 진입장벽을 IT 기술로 해결해 브랜드와 고객이 서로 Win-Win 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 냈다. 이는 기존에 명품에 있어서 거부감을 가지고 있던 고객층에게도 트렌비라는 이름 자체만으로 명품에 대한 거부감을 덜어내어 명품에 대해서 관심이 없던 고객들에게도 트렌비 자체만으로도 호기심을 불러일으켜 새로운 고객층의 유입까지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개발 스택이 과연 중요할까?

개발 스택은 중요하다. 하지만 프로덕트 기획의 모든 요소들을 고려해 보았을 때 개발 스택은 그저 이 요소들 중 일부분에 불과하다. 다시 말하자면 개발 스택은 그저 '프로덕트 기획의 과정 중 하나의 도구일 뿐'이라는 것이다. 프로덕트 혹은 서비스의 시작은 고객이다. 개발 스택에 대해 고민하기 전에 앞서 우리가 PMF를 찾았는지 우리가 미쳐 해결하고 있지 못한 고객의 문제는 무엇인지, 우리는 어떻게 기업가치와 고객가치를 모두 창출해 낼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우선이다. 이 단계가 명확하게 끝나고서 제공하고자 하는 프로덕트나 서비스에 따라 최적의 개발 스택을 선택하는 과정이 따라야 한다. 또한 단순히 좋아 보이는 것 그리고 최신 기술이 아니라 우리가 고객에게 더 나은 서비스 혹은 프로덕트를 제공하기 위해 어떤 개발 스택을 우리가 가지고 있는 프로덕트나 서비스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고민이 있어야 비로소 이때 개발 스택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Work spa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디어스  (0) 2021.03.01
오픈 API를 활용하여 기획하기  (0) 2021.02.25
Wire frame  (0) 2021.02.18
UX/UI의 10가지 심리학 법칙  (0) 2021.02.15
애자일하게 일한다는 것  (0) 2021.02.0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