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2 당근마켓 #당근마켓? 당근마켓은 온라인 중고거래 어플이다. 먼저 온라인 거래라고 하면 일단 신뢰성의 문제가 제일 떠오르는데 나 또한 어렸을때 게임 아이템을 다른 게임 유저와 거래하는 과정에서 빈번하게 사기를 당했기 때문에 온라인 거래에 대한 불신이 있었다. 때문에 온라인 거래라고 하면 먼저 상대방을 신뢰 할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먼저 들었는데 당근마켓은 나와 같은 고객들의 의문을 '당신 근처의' 줄여서 당근이라는 단어로 접근해 고객들로 하여금 인근에서 직거래를 하는 방식으로 거부감을 덜어주었다. 비록 온라인 거래이기는 하나 주변 사람들과의 직거래에 초점을 맞춘 것과 이를 위해서는 본인 인증과 GPS 인증이 추가적으로 필요해 조금 더 신뢰감을 주는 어플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중고거래에 대한 인식을 바꾸고자 그리고.. 2021. 1. 24. 전략이 필요한 이유 Q1. 전략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전략이란 목표 달성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한다. 좋은 예로 영화 명량 중 이순신 장군이 참전했던 명량해전이 있다. 명량 해전을 요약하자면 이순신 장군이 12척(한정된 자원)의 배로 330척의 배를 상대한 전투이다. 12척의 배로 330척의 배를 상대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 하지만 이순신 장군은 목표 달성(승리)을 위한 가장 최적의 방법(환경적인 요인을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전투를 승리로 이끌었다. 특히 이 방법에 대해 이순신 장군이 분석한 내용은 일본군이 수적인 우위를 가지고 있어 방심하고 있다는 점과 조류의 흐름 그리고 풍향까지 고려해 결과적으로 최적의 위치 선정을 선점하여 유리하게 전투를 이끌 수 있었다. 위의 예시에서 만약 이.. 2021. 1. 21. 왓챠 #왓챠? 언제부턴가 나조차도 TV보다는 핸드폰을 통해 주로 영상을 보거나 드라마를 보는 경우가 많아졌다. TV를 멀리하게 된지도 굉장히 오래된 거 같은데 나뿐만 아니라 주변에서도 TV보다는 핸드폰을 이용하거나 OTT 서비스를 통해 영상을 시청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 OTT 서비스라고 하면 가장 많이 들어본 것이 넷플릭스일 텐데 OTT 서비스의 공룡인 넷플릭스에 대항해 우리나라에선 고객들에게 색다른 접근으로 서비스를 시작한 왓챠가 있다. 왓챠는 넷플릭스, 웨이브, 티빙, 유튜브 등과 같은 OTT 서비스의 종류 중 하나이다. 다른 서비스들과의 차이점이 있다면 왓챠는 사용자들의 평가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를 주로 제공하고 있다. 양질의 콘텐츠를 고객들에게 제공하는 것과 별도로 왓챠는 고객에게 조금 더 초점을.. 2021. 1. 19. 고객이 왜 중요할까? Q1. 고객이 왜 중요한가요? 먼저 고객이란 무엇일까? 사전적 의미로는 '상점에 물건을 사러 오는 손님'이라고 일컫는다. 하지만 고객이란 기업에게 기업의 이윤의 수단으로 끝이 날 수 있겠지만 프로덕트의 최종 목적지로써 '사업의 방향성'과도 연관이 깊다고 표현할 수 있을 것 같다. 또한 PM의 관점에서도 기업가치와 고객가치를 모두 창출하는 것이 PM의 책임이지만 사실상 고객가치가 전제가 되지 않으면 기업가치도 창출할 수 없다. 그만큼 고객이 가지는 의미는 기업의 입장에서 봐도 그리고 PM의 입장으로 봐도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사업의 방향성? 모든 프로덕트는 최종 목적지에는 늘 고객이 있다. 그렇다면 이 고객이 왜 사업의 방향성이라고 할 수 있을까? 프로덕트를 사용하고 있는 고객은 기업에게 앞으로 .. 2021. 1. 14. 이전 1 2 3 4 5 6 다음